전체 글

· [DB] ORACLE
ORACLE 테이블스페이스 용량 관리를 위한 조회 쿼리입니다. (TIBERO도 같은 쿼리로 접근 가능합니다.) 테이블스페이스명, 파일아이디, 전체테이블스페이스용량, 사용가능용량, 사용량(%), 사용가능용량(%) SELECT A.TABLESPACE_NAME, A.FILE_ID, ROUND(A.BYTES/1024/1024/1024, 2)||'G' USABLE, ROUND( B.BYTES/1024/1024/1024,2)||'G' FREE, TRUNC(100-(B.BYTES/A.BYTES*100),2)||'%' USED_RATE, TRUNC(B.BYTES/A.BYTES*100,2)||'%' FREE_RATE FROM (SELECT TABLESPACE_NAME, FILE_ID, SUM(BYTES) BYTES FR..
1. postgresql schema 구조 - schema는 object들의 논리적인 집합을 의미한다. - TABLE, VIEW, SEQUENCE, SYSNONYM, DOMAIN, FUNCTION 등의 OBJECT들로 구성된다. - SCHEMA를 사용하는 이유는 논리적집합체를 만들어 관리 편의성을 높이고 여러 사용자의 간섭없이 접속할 수 있게 한다. 2. 스키마 조회 - \dn 명령어로 조회 가능 3. 스키마 생성 (1) CREATE SCHEMA [schema_name] AUTHORIZATION [user_name] [ schema_element [ . . . ] ]; - 이름을 입력하지 않을 경우 USER의 이름을 schema 이름으로 사용한다. (pg_ 로 시작하는 이름은 스키마 이름으로 불가능)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 성능까지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Part 2 물리설계 Chapter 10. SQL 1. SQL 개요 - SQL(Structured Query Language)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 접근(생성, 변경, 삭제, 조회)하기 위한 비절차적 표준 언어 2. SQL 구문별 상세 설명-DML - 데이터를 조회하는 SELECT문 (1) SELECT : 추출할 데이터 항목을 기술. 사용자가 원하는 데이터 항목을 지정. (2) FROM : 어떤 데이터오브젝트에서 무슨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할 것인지 기술. (3) WHERE : 대상 테이블에서 가져올 데이터에서 조건을 부여하여 데이터를 조회하는 경우 (4) HIERACHY : 부모와 자식으로 연결된 (5) GROUP BY : 가져온 데이터를 그..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 성능까지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Part 2 물리설계 Chapter 9. 데이터베이스 구축 1.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사전 준비 -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한 입력자료가 되는 산출물 검토 * ERD * 테이블 정의서 * 인덱스 정의서 * 뷰 정의서 * 테이블 스페이스 용량 산정서 * 인덱스 스페이스 용량 산정서 * 데이터파일 용량 산정서 * 분산 설계서 * 데이터베이스 환경 설계서 * 시스템파일 용량 산정서 2. 데이터베이스 생성 - 데이터베이스 생성(오라클) - ODCA(The Oracle Database Configuration Assistants)라는 그래픽 툴을 사용하여 손쉽게 생성 가능 3. 테이블 스페이스 생성 - 설계단계에서 정의한 각종 오브젝트(테이블, 인덱스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 성능까지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Part 2 물리설계 Chapter 8. 성능 데이터 모델링 1. 정규화를 통한 성능 향상 - 두 개의 엔티티타입이 통합되어 반정규화된 경우 * 대량으로 존재하는 데이터에서 조인 조건이 되는 대상을 찾기 인라인 뷰를 사용함으로써 성능이 저하되는 사례 - 두 개의 속성을 나열하여 반정규화한 경우 * 기본적으로 정규화를 사용하여 모델링을 전개하고 업무적으로 발생시키는 트랜잭션 성격, 분산 환경등에 대한 조건에 따라 반정규화를 적용 2. 반정규화를 통한 성능 향상 - 정규화가 잘 정의된 데이터모델에서 성능이 저하된 경우 * 데이터베이스 서버가 여러 대인 경우, 서버가 분리되어 분산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구성되어 있을 경우 반정규화를 통해 성능을 향상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 성능까지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Part 2 물리설계 Chapter 7. 데이터베이스 구축 준비 1. 관계형 테이블로 전환 - 엔티티타입은 테이블로 전환 (1) 독립 엔티티타입은 독립 테이블로 전환 (2) 완전 종속 엔티티타입은 완전 종속 테이블로 전환 (3) 부분 종속 엔티티타입은 부분 종속 테이블로 전환 - 주식별자는 PK로 변환 (1) 데이터 모델의 주식별자는 PK로 전환된다 (2) 무결성 제약(Referential Integrity)을 유지하는 역할 (3) PK는 테이블에 있는 각각의 로우를 유일하게 식별 (4) PK는 Null 값을 갖지 않는다 (5) 가능하면 모든 테이블에서 PK를 정의 (6) PK는 변경되지 않음 - 속성은 컬럼으로 변환 - 관계에 의한 외부 식별자..
mewoni
Mewoni's DB Wor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