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용량데이터베이스솔루션

제 4장 인덱스 수립 전략 4.1 인덱스의 선정 기준 4.1.1 테이블 형태별 적용기준 가) 적은 데이터를 가진 소형 테이블 - DB_FILE_MULTIBLOCK_READ_COUNT 값 이하 블록 크기의 테이블 - 한번의 멀티블럭 I/O에 의해 인덱스 없이 전체 테이블 스캔 가능 - 다른 테이블들과 연결될 경우 인덱스 유무는 옵티마이저에 영향 - 특히 조인에서 내측루프로 수행되면 작은 테이블이라도 인덱스가 없으면 심각한 문제 발생 가능 나) 주로 참조되는(Referenced) 역할을 하는 중대형 테이블 - 트랜잭션 데이터의 행위 주체, 목적이 되는 개체들로 구성이 된 테이블(키 엔터티 집합, ‘고객’ 등) - 데이터 증감이 적고 검색 위주의 액세스 발생, 검색 조건의 형태가 고정적 - 블록 내 최대한 조..
제 2장 인덱스의 유형과 특징 2.1. B-Tree index 2.1.1. B-Tree index의 구조 - Root/Branch/Leaf Block으로 나누어져 있음 - Rowid의 구조 * Data Obbject number : database segment 식별 정보 * Relative File number : tablespace에 상대적 datafile 번호 * Block number : Row를 포함하는 data block 번호 * Row number : block에서의 row의 slot - 인덱스 블록의 감소 전략 * 최대한 인덱스 컬럼 수를 줄인다 * 큰 블록 사이즈(DB_BLOCK_SIZE)를 지정한다 * RCTFREE를 가능한 최소로 정의한다 * 키 압축(Key compression)을 ..
mewoni
'대용량데이터베이스솔루션'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