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DAP

[DAP] Ⅰ. 전사아키텍처 이해 - 1-1. 전사아키텍처 개요

mewoni 2020. 3. 30. 15:42
반응형

[ Data Architecure Professional ]

 

1절 전사아키텍처 이해

1-1. 전사아키텍처 개요

1-1-1. 전사아키텍처 정의

1. 전사아키텍처 개념

. 전사아키텍처 도입배경

- 기업의 복잡한 시스템을 파악하기 쉽게 정리하는 것으로, 시스템을 필요한 형태로 변화시키는 것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해 도입

 

. 전사아키텍처 정의

- 다양한 정보기술의 혁신활동과 관리 통제를 포함하며, 시스템 도입의 구축 뿐 아니라 운영과 평가까지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을 의미

 

. 전사 개념

- 전사(Enterprise) : 일반적으로 기업 또는 기관을 지칭하며,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기 위해 고객, 상품, 서비스가 존재하고 이를 지원하기 위한 조직,

자원, 기술을 보유하며 필요한 업무 프로세스를 수행하는 조직의 집합체

- 전사의 범위를 초기에 명확히 정의해야 하며 전사아키텍처 수립 과정에서 중요한 판단기준이 되므로 이해 당사자들이 충분히 공감할 수 있어야함

- 전사아키텍처를 수립하는 모든 활동은 정의된 전사의 성과와 목표에 초점을 두고 아키텍처를 도출해야 함

 

. 아키텍처 개념

- 대상에 대한 구조 뿐 아니라 대상구조의 유지 관리를 위한 원칙과 지침, 향후 목표 아키텍처로 가기 위한 계획을 포함

- 규칙(Rule) 관점 : 전략, 원칙/지침, 표준

- 모델(Model) 관점 : 참조 모델, 비즈니스 아키텍처, 데이터 아키텍처,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 기술 아키텍처

- 계획(Plan) 관점 : 이행계획, 구체계획을 의미하며 목적에 따라 복잡한 대상을 단순하게 표현하고 구성 요소의 변화에 대한 요구를 수용하는 청사진

 

2. 전사아키텍처 추진 현황

- 전사아키텍처 관련 범정부 기준

* 범정부 전사아키텍처 참조 모델 : 아키텍처 구성요소의 표준화 및 부품화를 위한 참조 모델

* 범정부 전사아키텍처 산출물 메타 모델 : 아키텍처를 구성하는데 필요한 정보들과 그들 간의 관계를 정의한 모델

* 범정부 전사아키텍처 성숙도 모델 : 아키텍처 수준 및 향후 발전 방향을 수립할 수 있도록 1~5단계의 아키텍처 수준과 측정 항목을 정의한 모델

* 범정부 전사아키텍처 지원시스템(GITAMS) : 아키텍처 표준과 기준을 제공하고 각 기관의 아키텍처 정보 공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3. 전사아키텍처 관련 데이터 아키텍처 전문가 역할

- 고품질의 데이터 모델 또는 데이터 아키텍처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전사아키텍처의 개념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어야 함

 

1-2-2.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

1.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개념

- 전사아키텍처 활동에서 얻어지는 산출물을 ㄹ분류하고 조직화하고 이를 유지관리 하기 위한 전체적인 틀을 정의하는 것

 

2.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구성

- 전사아키텍처 정책/정보/관리 3영역으로 구분

그림1 전사아키텍처 정책

. 전사아키텍처 정책

- 전사아키텍처의 정보를 어떻게 구성하고 전사아키텍처 수립을 통하여 기업이 달성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모습, 전사아키텍처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활용하기 위한 원칙은 어떤 것인지 등을 정의하는 것

그림 2 아키텍처 매트릭스 예

 

- 뷰와 관점의 두가지 차원으로 전사아키텍처 정보를 구분하고 뷰와 관점이 교차하는 각 셀에는 전사아키텍처 정보의 실체가 되는 산출물을 정의

- 각 셀은 전후 좌우의 셀과 연관성을 가지며 셀간의 추적성이 확보되어야함

 

- 전사아키텍처 비전

* 전사아키텍처 수립을 통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모습으로 전사아키텍처 구축 목표, 목표를 효과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전략, 방향을 포함

 

- 전사아키텍처 원칙

* 전사아키텍처 정보를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기업 목적에 맞게 전사아키텍처 정보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조직 구성원이 공유해야할 규범

 

. 전사아키텍처 정보

- 아키텍처 도메인(Architecture Domain) : 아키텍처 매트릭스 상에서 뷰 관점으로 아키텍처 영역을 구분한 것

- 현행 아키텍처와 목표 아키텍처는 이런 아키텍처 도메인별로 아키텍처 정보를 구축

그림3 전사아키텍처 구성

- 현행 아키텍처 : 아키텍처 도메인별로 정의된 산출물에 대해 기업의 현재 상태를 아키텍처 정보로 정의한 것을 말함

- 목표 아키텍처 : 아키텍처 도메인별로 정의된 산출물에 대해 기업이 궁극적으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아키텍처의 상태를 아키텍처 정보로 정의한 것

- 전사아키텍처 이행 계획 : 아키텍처 도메인별로 현재 모습에서 바람직한 목표 모습으로 이행하기 위한 이행 전략과 이행 계획을 정의한 것

 

. 전사아키텍처 관리

- 전사아키텍처 관리체계

* 구축된 전사아키텍처를 유지하고 개선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수립, 정의된 전사아키텍처 원칙을 준수하고 통제하기 위한 조직과 프로세스를 정의

 

- 전사아키텍처 관리 시스템

* 전사아키텍처 정보관리 효율성을 제고하고 전사아키텍처 정보의 공유를 활성화하기 위해 구축하는 정보시스템

* 일반적으로, 모델링 도구(EA 정보 정의)/전사아키텍처 리포지터리(EA 정보 저장)/전사아키텍처 포털(EA 정보 배포)로 구성됨

 

- 전사아키텍처 평가

전사 사업 모델

(계획자 관점)

아키텍처 정보를 구축하는 대상인 전사 범위를 정의하는 것으로 시작

전사를 둘러싼 내외부의 이해 관계자를 분석, 외부 객체와의 가치 사슬을 분석하여 전사 정의

조직 모델

(계획자 관점)

기업의 사업 모델을 지원하기 위한 기업의 조직 구조를 정의

비즈니스를 수행하는 지리적 위치와 내부 객체를 도출하여 기업의 조직구조와 업무분석을 정의

업무 기능 모델

(책임자 관점)

기업의 업무 기능을 계층적으로 분할하고 기능 내용을 정의

기능을 분할할 때는 조직 기준이 아닌 업무 기능의 유사성과 연관성을 기준으로 정의

상위 업무는 하위 업무 기능의 합으로 완전히 표현될 수 있어야함

프로세스 모델

(설계자 관점)

업무 기능을 상세화하여 계층적으로 프로세스를 분할하고 프로세스의 활동 내용을 정의

업무 매뉴얼

(개발자 관점)

업무 기능이나 프로세스별 업무 내역을 상세히 기술한 자료로 목록 수준의 정보를 관리

 

 

.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

- 기업 업무를 지원하는 전체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고 연관성을 정의하며 업무와 IT특성을 고려하여 그룹화, 범주화 하여 구조를 체계화 하는 것

전사 어플리케이션 영역모델

(계획자 관점)

기업 업무를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 식별하고 특성 분석을 통해 전사 수준에서 구조화 하는 것

어플리케이션 모델

(책임자 관점)

각 어플리케이션이 지원하는 기능/데이터 정보 정의, 서비스 도출, 연관 관계를 정의

컴포넌트, 클래스 모델

(설계자 관점)

실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설계정보를 관리하는 것

컴포넌트/클래스/데이터 흐름도 등의 개발 방법론에 영향을 많이 받음

프로그램 목록 (개발자 관점)

어플리케이션의 최종 단위인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를 관리

 

. 데이터 아키텍처

- 데이터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의

- 전사의 데이터 영역을 업무 데이터와 메타 데이터로 구분

전사 데이터 모델

(계획자 관점)

개괄 데이터 모델

상위 수준의 전사 데이터 영역을 분류하여 표현한 것

개념 데이터 모델

(책임자 관점)

전사 수준의 데이터 모델로 단위 주제 영역 또는 핵심 엔티티 정도를 표현한 데이터 모델

전사 수준에서 사용하는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기본 틀

논리 데이터 모델

(설계자 관점)

개념 데이터 모델에서 정의된 주제 영역과 핵심 엔터티를 기본 정보로 업무 요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데이터의 상세한 구조를 논리적으로 구체화 한 것

물리 데이터 (개발자 관점)

기술적 환경과 특성을 고려하여 물리적 데이터 구조를 설계하고 데이터베이스 객체를 정의한 것

 

. 기술 아키텍처

- 비즈니스, 데이터, 어플리케이션 아키텍처에서 정의된 요건을 지원하는 전사의 기술 인프라 체계를 정의하는 것

전사 기술 영역 모델

기술 참조 모델 (계획자 관점)

기업이 업무 활동에 필요한 정보기술의 영역을 상위 수준에서 분류한 것

표준 프로파일 모델

(책임자 관점)

기술 참조 모델에 명시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정보 기술 표준들의 집합

기술 아키텍처 요소에 영향을 미치는 모든 표준을 포함하며 시스템 이식성, 확장성, 상호운용성, 호환성을 제고

기술 아키텍처 모델

(설계자 관점)

전사 기술 영역 모델이나 기술 참조 모델에서 정의된 서비스 카테고리별로 아키텍처의 패턴을 정의하거나 기업의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네트워크 등의 구성 요소에 대한 배치도를 정의

기술 자원 목록

제품 목록 (개발자 관점)

표준 프로파일이나 기술 아키텍처 별로 관련된 기술 자원 목록이나 제품 목록을 기술 아키텍처 정보로 관리

 

4. 전사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사례

- 41p

- ZEAF / FEAF / TEAF / DoDAF / TOGAF / 공공부분EAF

 

1-1-3. 전사아키텍처 참조 모델

참조 모델 정의

. 참조 모델 개념

- 아키텍처 구성 요소를 식별하여 표준화한 것으로 기관이나 기업의 전사아키텍처를 수립할 때 참조하는 추상화 된 모델

 

. 참조 모델 현황

그림4 참조모델현황

* 성과 참조 모델(Performance Reference Model) : 정보화 성과 측정을 위한 항목과 지표 및 방법을 제시

* 업무 참조 모델(Business Reference Model) : 업무아키텍처의 기준, 아키텍처 대상 기관의 사업 또는 업무 등을 전체적으로 분류하고 정의

* 서비스 참조 모델(Service Reference Model) : 응용아키텍처의 기준, 응용 서비스의 기능을 분류하고 정의

* 데이터 참조 모델(Data Reference Model) : 데이터아키텍처의 기준, 기관 간 교환되는 주요 데이터 요소를 분석하고 정의하여 표준화

* 기술 참조 모델(Technical Reference Model) : 기술아키텍처의 기준, 정보기술을 분류 및 식별

 

- 기술 참조 모델이 가장 잘 활용되고 있으며 대표 선진 사례로 미연방 TRM, 오픈그룹 TRM, 가트너 TRM, 정보화진흥원 TRM 등이 있음

- 선진 사례는 어떤 것은 너무 범용적이며, 어떤 것은 정부, 국방 등 특정 영역에 의존적이기 때문에 자사 혹은 해당 산업의 기술적 특성 반영 X

 

. 참조 모델 구축 방법

- 공통적인 특성을 추출하여 그 산업군에 맞게 범용적으로 만드는 방법

- 복잡하고 대표적인 기업을 선정하여 그 기업의 아키텍처를 표본으로 삼아 비슷한 타 기업에서 재활용 하게 만드는 것

 

2. 참조 모델 사례

. 업무 참조 모델

- 특정 기관의 독립적인 업무 기능을 중심으로 정의한 참조 모델

. 서비스 참조 모델

- 업무 수행과 목표 달성을 지원하는 서비스 요소를 분류하기 위한 기능 중심의 평가 지향적 참조 모델

- 여러 개의 서비스 영역으로 구분되며, 각 영역은 여러 개의 서비스 유형으로 구성되고, 각 서비스 유형은 서비스 컴포넌트로 분류

 

. 기술참조 모델

- 업무 서비스 구성 요소의 전달, 교환, 구축을 지원하는 표준, 명세, 기술 요소를 기술하기 위함

- 특성상 다양한 산업군 및 기업에 바로 적용 가능하여 구축이 용이하고 기대효과가 커서 가장 먼저 적용 가능한 영역

. 데이터 참조 모델

- 기관 간 공통 정보 파악과 활용을 지원하기 위한 참조모델

- 기관 간 정보 공유 및 데이터 표준화, 재사용을 지원하기 위한 범정부 데이터 분류 및 데이터 표준화와 관리를 위한 기준과 체계를 정의

* 범정부 데이터 모델 : 범정부에서 구축 및 활용하고 있는 데이터를 식별하고 데이터 영역 간의 관계를 도식화 한 것

* 데이터 분류 : 데이터 분류 기준을 정의하고, 분류 체계를 활용함으로써 좀 더 용이한 데이터 관리 및 검색이 가능

* 데이터 구조 : 범위 내 모든 데이터 요소와 요소의 소유주, 표준화 항목 정의, 요소 간 관계 및 정보 저장

* 데이터 교환 : 교환 대상 정의 및 메시지 구조, 방식을 제시하고 교환 내역을 관리

* 데이터 관리 : 데이터 품질, 표준화, 보안 등의 유지를 위한 데이터 관리 정책 및 규칙, 프로세스, 조직 구조를 정의

 

. 성과 참조 모델

- 정보화 성과 관리를 위한 구성 요소와 관계를 정의한 것으로, 정보화 성과 제고 및 정보화 사업 품질 향상을 위한 기본 틀 제공

- 의사결정을 향상 시키며, 정보화 사업의 입력, 과정, 출력, 최종 성과 간의 인과 관계를 명확히 하여 계층별 성과의 연계를 증진

 

3. 참조 모델 활용

그림6 참조 모델 활용방안

 

1-1-4. 전사아키텍처 프로세스

전사아키텍처 프로세스 개요

- 전사아키텍처를 구축하고 관리하는 전체 절차에 관한 것으로 작업단계, 공정, 작업내용 등을 정의하는 것

-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 구성요소이며, 전사아키텍처 프레임워크 내 다른 구성요소를 정의하기 위한 모든 절차와 작업을 포함

 

전사아키텍처 프로세스 구성

그림7 전사아키텍처 프로세스 구성 체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