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 성능까지 고려한 데이터 모델링 Part 1 논리설계
Chapter 4. 프로세스 모델링
* 모델링 요소 : 데이터관점 / 프로세스 관점 / 데이터와 프로세스의 상관 관점
* 프로세스 모델링 : 업무에 필요한 프로세스를 시스템 구축 방법론을 사용해 분석하고 설계하여 정보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
1. 업무 기능 분해
* 목적
- 정보화 시스템 구축하는 최저 단위의 단위 프로세스 도출
- 전체 업무 체계를 프로세스를 중심으로 도식화하여 업무 기능 파악
* 프로세스
- 각 업무 기능 중 세분화된 업무 구분 또는 업무 실행 단위가 되면서 정보의 입출력이 되는 단위
* 기술방법
- 엔티티타입이나 속성형 명사에 동사를 붙여 구성 (계약을 종료한다/직원을 채용한다/일시를 공고한다 등)
* 업무 기능 분해 순서
(1) 해당 업무에서 단일 업무 기능으로 정의하고자 하는 큰 구분, 즉 뿌리 기능을 지정한다.
(2) 단일 기능으로 정의한 업무기능을 더 세부적으로 쪼갠다
(3) 기능들을 업무 발생 순서대로 업무 기능 분해도에 배치한다
(4) 단위 프로세스가 도출될 때까지 위 작업들을 반복적으로 수행한다.
* 업무 기능 분해 자료
(1) 해당업무를 구체화하여 업무 기능을 분해하는 방법은 보통 분해 작업의 첫 번째 단계에서 이용된다.
(2) 업무 기능의 생명주기를 분석하여 업무 기능을 분해한다.
(3) 엔티티의 상태를 이용하여 업무 기능을 분해한다
(4) 업무 이벤트에 따라 기능을 분해한다
(5) 데이터의 구조에 따라 기능을 분해한다
2. 단위 프로세스의 도출
(1) 단위 프로세스가 실행될 때는 완전하고 의미있는 결과가 나와야한다.
(2) 프로세스는 서로 밀접하게 관련이 있는 형제 프로세스와 동시에 데이터 집합에 작용한다.
(3) 각각의 프로세스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에 대해 응답이 존재해야 한다.
(4) 어느 단위 프로세스도 데이터에 전혀 상관없이 독립적으로 수행해서는 안된다.
3. 단위 프로세스와 데이터
업무 기능과 데이터를 함께 표현하여 상호 검증과 보완이 이루어지게 하는 방법으로 프로세스 모델링 작업을 진행 할 수 있다.
* 실제 현업에서는 삭제가 자주 나오지 않는다. 추적과 통계 정보 등의 이유로 엔티티들은 일반적으로 '사용안함', '사용하지않음' 의 상태코드로 분류하는 방법을 많이 사용함.
* 삭제의 경우는 사용자 실수로 데이터를 잘못 입력했을 경우에 입력 이전 상태로 되돌리는 재처리 로직을 많이 사용한다.
- 재처리 로직은 불필요한 개발량의 증가와 업무의 복잡성이 증가하므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사용해야함.
4. 기타 프로세스 모델링의 주요 방법
* 업무 처리 종속 분석의 목적
- 프로세스 기동시 필요한 이벤트 이벤트가 무엇인지 각 프로세스는 다른 프로세스의 영향을 받아 실행되는지 분석
- 업무 기능 분해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지 검증하고 분석자가 업무 흐름을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 업무 처리 종속도(Dependency Diagram)가 산출물로 도출되며 DFD와 구조가 비슷하다.
* 업무 처리 종속도의 표기법
- 업무 기능 종속 관계를 명확히 나타냄으로써 각 업무 기능의 사전/사후 조건이 명확히 구별되며 도식화된 기호와 용어로 종속도를 만든다.
* 이벤트
- 프로세스 모델링에서 이벤트의 의미는 업무 기능이 수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에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을 말한다.
- 모든 업무 단위 프로세스는 반드시 이벤트에 의해 발생되고 업무 데이터에 영향을 준다.
'[STUDY] DB모델링 설계 및 구축 실무과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1부 논리 설계 -6. 모델 검토 (0) | 2020.04.02 |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1부 논리 설계 - 5. 상관 모델링 (0) | 2020.04.02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1부 논리 설계 - 3. 실전 데이터 모델링 이슈 (0) | 2020.04.02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1부 논리 설계 - 2. 데이터 분석 및 모델링 (0) | 2020.04.02 |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구축 1부 논리 설계 - 1. 데이터 모델링 주요 개념 (0) | 2020.04.02 |